구 지번 우편번호가 어떻게 되더라?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지번주소를 사용하였지만 2014년 부터는 도로명주소로 , 2015년에는 기존 6자리 우편번호를 5자리 우편번호로 변경이 되면서, 새로운 신도시가 지어지거나 뉴타운이 만들어지며 타지역 거주하던 분들이 대거 이주를 하게 되면서 옛날 번지 주소와 6자리 우편번호를 사용할 일도, 기억해야할 이유도 없어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지난 시간에 keepsoild VPN 사이트에 회원가입을 하면서 5자리의 현재 우편번호가 아닌 6자리 우편번호를 사용해야 하는 경험이 있었기에 이번 시간에는 옛날 우편번호를 찾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예전 우편번호를 찾기 위한 새로운 우편번호 서비스 사이트에서.. 네이버의 우편번호 찾기 서비스나 도로명주소 안내 홈..
우리집 주소가 영문으로 어떻게 쓰지? 우리 집 주소와 우편번호가 필요할 때는 주로 2가지 이유가 있는 거 같습니다. 1번째는 새로 가입하는 국내 온라인 쇼핑몰이나 홈페이지 가입을 하면서 우편물, 국내 택배를 수령하기 위해서 찾아보게 되지만, 대부분의 회원가입 단계에서 도로명 주소 나 예전에 사용하던 구 주소 의 몇가지만 입력하면 간편하게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2번째로 거주 생활하는 집 또는 하루의 대부분을 보내고 있는 회사 직장으로 해외 직구 제품을 받기 위해서 찾게 됩니다. 이번시간에는 해외직구 과정에서 필요한 준비과정으로 주소 정보의 영문으로 변경하는 방법과 해외 쇼핑몰 등에서 요구하는 항목에 변환한 영문 주소를 어떻게 기입해야하는 지 낯선 초보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간단하..
도로 표지판 곳곳에 파란색 바탕에 흰색글씨로 써있던 익숙하지 않은 도로명이 본격적으로 사용이 된다고 합니다. 조금은 낯설지만 변경된 새로운 도로명 주소를 사용해야 한다고 하니까 한번 더 보기도 하고, 택배나 우편물 수령할 때 전환된 주소를 이야기하지만 아직은 서로가 어색하네요. 홈페이지로 이동하면 상단 중앙에 커다란 검색창에 현재 사용 중인 주소 중에 가장 마지막 단위를 입력합니다.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http://www.juso.go.kr 주소를 입력 후 검색 버튼을 누르면 좌측에는 가 보이며, 우측에는 예전에 사용하였던 지번 이라고 표기되는 주소를 보여줍니다. 우편번호와 함께 부가적으로 도로명주소에 해당하는 영문주소도 함께 안내하기 때문에 해외에서 물품을 쇼핑하는 사용자분이라면 해외사이트에 등록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