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롬 웹브라우저에서 봤던 이미지가 필요할 때, 혹은 인터넷 속도의 향상으로 더 많은 이미지와 동영상 등의 정보를 한 장의 웹페이지애 담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우리는 정보의 홍수라는 이야기처럼 기억하지도 못하고 넘어가거나 스치듯이 지나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구글 크롬 웹브라우저를 사용하면서, 얼마전 인터넷 쇼핑을 하면서 우연히 찾았던 상품의 이미지만 기억이 나서 찾고 싶을 때 또는 인터넷 서핑을 한 흔적을 살펴 볼 수 도 있는 등의 다양한 이유로 구글 크롬의 캐시 폴더를 윈도우10과 애플 맥 OS에서 각각 찾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윈도우10 Google Chrome Cache 위치 찾기 윈도우10 의 파일 탐색기를 이용하여 구글 크롬의 캐시 파일을 찾기 위해서는 작업표..
인터넷 브라우저 크롬을 어느 컴퓨터에서도 동일한 환경 만들기 지금도 사용되고 있는 FTP, 텔넷 등과 같은 텍스트 기반의 인터넷 환경에서 1993년 모자이크(MOSAIC), 1994년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Netscape Navigator) 의 웹브라우저 등장으로 텍스트와 그림 그리고 영상까지 모니터 화면에 보여 지면서 일반 사용자의 관심과 접근이 용이해지게 되었습니다 30여의 시간이 흐른 지금은 구글의 크롬(Chrome), 애플 MacOS 전용 브라우저인 사파리(Safari),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와 엣지(Edge), 오페라(Opera), 파이어폭스(Firefox) 그리고 네이버(Naver) 검색사이트에서 무료로 배포하고 있는 웨일(whale) 웹브라우저..
애플사에서 판매하고 있는 맥계열, 아이패드, 아이폰에 기본 브라우저으로 사용하고 있는 사파리(safari) 를 일반 pc에 설치하는 과정 및 환경설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무런 정보가 없는 초보 사용자라면 홈페이지에서 필요한 파일을 받는 과정까지 찾아가는게 어렵게 생각들 수 도 있습니다. 메인화면 상단에 있는 메뉴에서 우측 끝에 있는 을 선택하여 이동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양한 지원 항목들이 있지만 으로 큰 그림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클릭해서 다음으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이제 우리가 다운로드해야 하는 사파리가 보이는 메뉴까지 찾아 왔습니다. 최신버전 숫자만 보고 진행하시면 안되며, 지원하는 운영체제에 맞는 항목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Windows 용으로 되어 있는 글자를 선택하시면 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