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지번 우편번호가 어떻게 되더라?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지번주소를 사용하였지만 2014년 부터는 도로명주소로 , 2015년에는 기존 6자리 우편번호를 5자리 우편번호로 변경이 되면서, 새로운 신도시가 지어지거나 뉴타운이 만들어지며 타지역 거주하던 분들이 대거 이주를 하게 되면서 옛날 번지 주소와 6자리 우편번호를 사용할 일도, 기억해야할 이유도 없어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지난 시간에 keepsoild VPN 사이트에 회원가입을 하면서 5자리의 현재 우편번호가 아닌 6자리 우편번호를 사용해야 하는 경험이 있었기에 이번 시간에는 옛날 우편번호를 찾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예전 우편번호를 찾기 위한 새로운 우편번호 서비스 사이트에서.. 네이버의 우편번호 찾기 서비스나 도로명주소 안내 홈..
우리집 주소가 영문으로 어떻게 쓰지? 우리 집 주소와 우편번호가 필요할 때는 주로 2가지 이유가 있는 거 같습니다. 1번째는 새로 가입하는 국내 온라인 쇼핑몰이나 홈페이지 가입을 하면서 우편물, 국내 택배를 수령하기 위해서 찾아보게 되지만, 대부분의 회원가입 단계에서 도로명 주소 나 예전에 사용하던 구 주소 의 몇가지만 입력하면 간편하게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2번째로 거주 생활하는 집 또는 하루의 대부분을 보내고 있는 회사 직장으로 해외 직구 제품을 받기 위해서 찾게 됩니다. 이번시간에는 해외직구 과정에서 필요한 준비과정으로 주소 정보의 영문으로 변경하는 방법과 해외 쇼핑몰 등에서 요구하는 항목에 변환한 영문 주소를 어떻게 기입해야하는 지 낯선 초보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간단하..
해외직구의 새로운 난관, 국내카드가 아닌 해외발급 신용카드 정보가 필요하다면 국내에는 판매하지 않거나 보다 할인된 행사로 저렴하게 할인된 금액으로 구입할 수 있는 정보를 자주 접하게 되면서 해외 쇼핑몰에서 전자제품, 의류 등의 해외직구 구매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 빈도가 증가하거나 혹은 관심만 가지고 쉽게 실행에 어려움을 느끼게 됩니다. 처음 시작단계에서는 해외결재가 가능한 카드, 개인통관번호 만들기 그리고 안전하게 제품이 도착 할지에 대한 염려 등의 고민으로 시작도 하지 못하고 포기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한국의 인터넷 쇼핑몰에서 결재 시 복잡한 신용카드 결재 방법과 달리 상대적으로 너무나 간단한 과정으로 구입할 수 있다는 사실을 경험 하면서 보다 더 다양한 해외 온라인 마켓에서 필요한 제품의 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