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nology 나스의 활용도 & 보안에 눈을 뜰 때 내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별도의 공간에 저장하기 위해서 또는 회사나 가정에 있는 데스트톱 컴퓨터를 외부에서도 간편하게 접속하여 필요한 데이터 파일을 살펴보기 위해서 필요한 NAS(Network Attached Storage) 장비 중에서 Synology NAS를 선택하여 기본적인 사용방법과 자료를 백업을 간단히 완료하였다면 그다음부터는 도커(docker) 나 각각 응용프로그램들을 하나씩 알게 되면서 비싸게 구입한 나스(NAS)의 다양한 활용방법에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그리고 비슷한 시기에 24시간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장치라는 특징으로 보안설정에 대해서도 신경 써야 한다는 사실도 알게 됩니다 Synology DSM(DiskSta..
인터넷에서 찾은 정보들을 NAS에 보관하고 싶을 때 전공 분야나 관심이 있는 내용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는 인터넷 사이트의 자료를 매번 프린터로 출력할 수도, 한계가 있는 나의 기억력에 만 의존하기에는 부족함을 느끼게 됩니다 이번 시간에는 시놀로지 나스의 도커(Docker)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모델을 가지고 계신 분들 중에 웹 페이지를 간단하게 저장하여 필요할 때 활용할 수 있는 archivebox 의 설치에 필요한 준비와 설치과정 그리고 도메인 주소로 연결하여 회사나 학교 등의 외부에서도 나스에 연결하여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과정을 같이 배워보려고 합니다 최근 오래동안 사용하고 있었던 시놀로지 OS 버전이 6에서 Ver 7 로 큰 판 올림이 있었던 DiskStation Manager (DS..
나만의 넷플릭스, 왓챠를 시놀로지 plex 로 만들었는데 시놀로지 나스의 활용 용도로 나만의 동영상 데이터를 인터넷 iptv, 넷플릭스, 왓챠와 같이 영화 제목과 영화 포스트 그리고 영화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있는 화면 구성으로 꾸밀 수 있는 plex는 무료로도 즐기기에 충분합니다 이번시간에는 NAS 를 구입하면서 초기에 세팅 이후 사용방법을 잊어버린 분들이나 이제는 스스로 관리를 해야 분들에게 새롭게 업데이트 된 버전으로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워보려고 합니다 plex 홈페이지에서 최신버전 파일 설치하기 시놀로지 DSM 의 "패키지 센터” 에서 plex 를 검색하여 설치할 수 도 있지만, plex 홈페이지에서 설치파일을 다운받아 사용 중일 때 업데이트 된 버전으로 적용이 필요할 때는 plex 홈페이지..
공유기에도 NAS에도 고정 도메인을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딜라이브 등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사업자(Internet Service Provider, ISP) 를 이용하여 가정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인터넷 모뎀의 전원을 끄고 껼때 or 서비스업체에서 아이피가 고정되지 않고 변경되는 동적 유동IP로 운영되기 때문에 외부 컴퓨터에서 고급 인터넷공유기나 NAS(나스) 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사용하는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DDNS(Dynamic Domain Name System) 라는 서비스를 활용하게 됩니다 이번시간에는 유동 아이피를 사용하면서도 고정도메인을 무료로 제공하는 DuckDNS 의 이용방법과 시놀로지(Synology)에 연결하는 방법을 살펴서 고정도메인으로..
에버노트를 대체하기 위해 고민하는 분들에게 노트 필기 어플의 대명사인 는 기본적인 노트 메모에서 부터 한글 필기체 인식, 인터넷 웹스크랩, 해야할일 목록 작성에서 부터 다른 사람과의 공유, 태그 및 본문 텍스트의 검색 기능들과 함께 외부 서비스와의 연결 지원이 많아서 전세계 인구수의 10%에 달하는 2억명 넘는 계정 가입자가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에버노트의 서비스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월 6천원 or 5만5천원의 연간구독 비용을 꼬박꼬박 통장에서 고정 지출이 발생하게 됩니다 하지만 다양한 기능과 확정성도 사용자 마다 필요로 하는 기능이 다르며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가 포함된 비용까지 지불하게 됩니다 사용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의 구독서비스를 1개, 2개는 그렇지 부담스럽지 않게 느낄 수 있지만, 유튜..
시놀로지 나스의 파란색 고래의 정체 인터넷에 연결하여 외부에서도 필요한 자료를 사용하기 위해서, 중요한 자료를 안전하게 백업하기 위해서 등의 이유로 나스(NAS) 라는 데스크톱 컴퓨터나 노트북PC와는 다른 확장성과 특성화된 OS를 제공하는 시놀로지(Synology), 큐냅(QNAP), 아이피타임(IPTIME) 등의 여러 제품들 사이에서 고민 끝에 시놀로지 나스를 선택하신 분 들이라면 단순한 자료 백업이라는 목적에서 NAS(나스) 업체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파란색 고래 그림의 아이콘 에 호기심을 가지게 됩니다 이번시간에는 윈도우10에서 제공하는 Hyper-V, 샌드박스(Sandbox), 버추얼박스(VirtualBox), VMware 등과 같이 설치되어 있는 운영체제(OS)에는 영향을 ..
내가 만드는 스마트TV KODI 는 안드로이드tv 셋탑박스, 나스(NAS) 와 라즈베리파이 등의 다양한 운영체제와 하드웨어를 활용하여 음악, 사진, 영상 등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즐길 수 있는 오픈소스로 나만의 작은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미디어 재생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오픈소스(Open source) 소프트웨어(software) 입니다. 다양한 확장성 으로 미니 블루투스 무선 키보드를 이용하여 스마트 TV 와 같은 환경을 적용하면서 만들어 가는 즐거움이 있습니다. KODI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하기 코디(KODI)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홈페이지 우측에 있는 메뉴를 클릭하여 파일을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을 합니다. 이동한 홈페이지에서 아래로 페이지를 이동하면 그림과 같이 영역을 만날 수 있습니다..